시골집
크리에이터
지역매물
농촌다움100
로그인
인생2막
자연과 함께 귀농/귀촌 포털을 만들어 갑니다.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충청남도
맵
시군경계
이전
2 / 5 페이지
다음
#번호
를 클릭하면 지도에서 위치를 찾습니다.
#1 보기
충청남도 당진군 정미면 덕삼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덕삼저수지
논과 저수지와 산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에 우산 쓴 나들이객으로 인해 한 폭의 수채화가 되었다.
#2 보기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생태하천 만들기
마을을 가로지르는 소하천으로서 상류는 시멘트로, 그리고 하류는 돌과 풀로 자연적인 모습으로 제방을 만들었다.
#3 보기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1리
2021년 7월 9일 10:53 오후
활기찬 도미항
소성1리 앞바다에 자리 잡은 도미항이 각종 어선과 외지에서 놀러온 관광객들로 북적거린다. 마을 위로 남포 방조제가 서쪽으로 동문 밖 저수지가 있다. 이곳에 있는 고소성의 이름을 따서 소성리라 하였다.
#4 보기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소성1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충청수영성(오천성)
충청수영성은 조선시대 석성으로 수군절도사 이장생(李長生)이 서해를 통해 침입해 들어오는 적을 감시하고 물리치기 위하여 쌓았으며 1896년(고종 33) 폐영되었다고 한다. 충청수영성은 천수만 입구와 어우러지는 경관이 수려하여 조선시대 시인 묵객들의 발걸음이 잦았던 ...
#5 보기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송학2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송학앞바다
송학2리 앞바다에 펼쳐진 갯벌, 갯벌은 물이 빠지면 길이 생겨 마을사람들은 그 길을 통해 경운기를 타고 나가 일을 한다. 갯벌 위로는 해안도로가 있어 마을을 오가는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6 보기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봉당2리
2021년 7월 9일 10:53 오후
봉당저수지의 연꽃
봉당2리 마을 중심에 위치한 저수지다. 저수지는 생태적으로 건강해 각종 수생식물, 어류, 조류가 서식한다. 가뭄철에는 농업용수로 사용된다.
#7 보기
충청남도 부여군 석성면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청용지
석성마을의 젖줄기 청용지. 석성마을은 마을 끝에서 마을을 굽어보는 저수지가 있는데, 마을 가장 안쪽, 마을보다 더 높은 자리에 있어 존재가 잘 드러나지 않는 청용지다. 일년에 한차례 마을 주민들이 모여 용왕제를 지내는 독특한 풍습이 있는데, 정월대보름 마을잔치와 ...
#8 보기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벚나무가 아름다운 운산목장
1969년 거대한 산지를 개발하여 국내 최대 규모의 목장이 들어섰다. 푸른 초원을 에워싼 30년생 벚나무는 2,000여 그루에 달해, 목장 언덕길을 따라 전망대에 이르는 1km 가량의 벚꽃길이 장관을 이룬다. 전망대에 오르면 탁 트인 목장 전경이 한눈에 펼쳐지며 ...
#9 보기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고풍리
2021년 7월 9일 10:53 오후
고풍리의 푸르름
산에 올라가서 드넓은 마을의 풍경을 볼 수 있으며 푸르름이 눈을 편안하게 하고 시원하게 해준다 가을에는 단풍을 구경할 수 있다. 잘 다듬어진 농경지로 단아함이 더해진다.
#10 보기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원벌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벚꽃마을
647번 지방도로를 가운데 두고 동서로 물결치는 서산목장은 4월 벚꽃이 만개할 무렵 목장 길을 따라 수령 30년의 벚나무 1,000여 그루가 초록색 목초 밭을 배경으로 벚꽃터널을 이룬다. 길게 띠를 두른 벚꽃 터널이 여기저기서 뭉게구름처럼 둥둥 떠 있다.
#11 보기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둔당1리
2021년 7월 9일 10:53 오후
하늘과 만나는 들
멀리 스카이라인을 이루는 산림과 넓게 펼쳐져 지평선을 이루는 농경지가 만났다. 마을 숲과 주거지가 계단식 논 위에 위치하여 포인트를 주어 경관에 중심을 잡아준다. 구름이 살짝 껴 있는 날이면 녹색의 논이 더욱 푸르게 빛나 하늘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농업 경관을 만들...
#12 보기
충청남도 서천군 가산면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이색체험
마치 연잎이 벽을 타고 올라간 듯 진짜와 가짜가 구분이 가지 않는다. 각박해지는 도시민을 위한 쉼터를 마련해주고 추억을 되새기며 마음의 따뜻한 여유를 불어 넣어주는 치료사와 같은 마을로 자연과 농촌, 사람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