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집
크리에이터
지역매물
농촌다움100
로그인
인생2막
자연과 함께 귀농/귀촌 포털을 만들어 갑니다.
경기
강원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경상남도
맵
시군경계
이전
9 / 10 페이지
다음
#번호
를 클릭하면 지도에서 위치를 찾습니다.
#1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마을 앞에서 만난 솔숲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마을 주변 들판과 편안한 안식처가 되고 있는 마을 앞 솔숲, 기백산과 황석산 사이에서 흘러내리는 용추계곡, 그리고 때 묻지 않은 순수함을 간직한 마을사람들의 인심이 자랑거리인 마을이다.
#2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장항리
2021년 7월 9일 10:53 오후
장항리 푸르른 산과 들
유림면 장항리 산림경관이다. 산림 앞으로 넓게 펼쳐진 농경지와 마을길을 따라 산림이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자아낸다. 말 그대로 높은 산과 드넓은 들의 경관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3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개평마을 기와지붕들
개평리 개평마을은 한옥마을로 전통주택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수려한 경관을 자아낸다. 마을회관 뒷산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멀리 산중턱에 있는 고속도로가 한옥과 묘한 조화를 이룬다.
#4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돌담과 안샘
안샘(우물), 마을 내부 위요된 공간에 전통 돌담과 어우러진 우물의 모습으로 후면부의 대나무숲과 어울려 아늑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5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함양 일두고택
개평리에 위치한 함양 일두고택으로 조선 성종 때 대학자인 일두 정여창의 고택이다. 중요민속자료 제186호로 현재 건물은 정여창의 사후인 1570년대에 후손이 중건한 것이라고 한다.
#6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대천리
2021년 7월 9일 10:53 오후
대천리에도 평야가 있다
함양에서는 보기 드문 평야지대인 대천리. 그래서 더욱 푸른 들이 빛을 발한다. 먼 곳의 산림과 가까운 들판이 원근법을 배우는 미술시간의 그림 같다. 멀리 보이는 전봇대마저도 잘 조화된 경관이다.
#7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송전리
2021년 7월 9일 10:53 오후
송전리 곡선 논두렁
산촌생태마을인 송전리의 농업경관이다. 자연 그대로의 지형형태가 잘 유지되어 있고 주변 산세의 경관이 수려하여 다랑논 또한 아름답게 느껴진다.
#8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송전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송전리 용유담
송전리 마을에서 바라본 용유담 경관이다. 신록 무성한 초여름 날, 산도 보고 들도 보고 물도 보는 유유자적한 한량의 삶을 살아보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하는 경관이다.
#9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월평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월평리 아름다운길 오도재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뽑힌 바 있는 오도재이다. 휴천면에서 마천면으로 넘어가는길이며 오도재를 따라 올라가면 지리산 제1문이 있다. 구불구불 길을 가다보면 눈앞 가득 고운 들이 기다리고 있다.
#10 보기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월평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오도령(오도치) 굽잇길
오도령은 2006년에 지리산 제일문, 변강쇠 옹녀공원, 시비, 여러가지 장승 등으로 아름답게 조성하였다. 금대지리란 금대암에서 지리산 줄기를 한눈에 볼수 있는 풍경을 말하는데, 지금은 지리산 제일문을 지나 마천 쪽으로 조금 내려가면 지리산 조망공원이 있어서 이곳에...
#11 보기
경상남도 합천군 봉수면 죽전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가을걷이 풍경
산골을 따라 다랑논이 군데군데 자리잡고 있으며, 가을걷이한 나락을 논에 세워서 건조하고 있다. 구불구불 한 나락의 볏가리가 빈 들판을 가로지르는 보기 드문 광경을 보여주는 마을이다.
#12 보기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덕진리
2021년 7월 10일 4:06 오전
덕진리 마을벽화
마을 입구에 위치하는 벽화는 다른 마을과 달리 관리가 잘 되고 있으며 깔끔하고 마을을 돋보이게 한다. 벽화 앞에는 마른 하천이 흐르고 있다. 벽에서 자라는 꿈과 희망의 나무들.